
1. 엑셀러레이션(Acceleration)
엑셀러레이션은 원래 '가속'이라는 의미인데, 직장 내에서는 업무의 속도나 진행 과정을 빠르게 진행하는 것을 의미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를 엑셀러레이트한다는 것은 그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를 높인다는 뜻입니다.
2. 버퍼(Buffer)
'버퍼'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용어에서 사용되지만, 직장에서는 일정이나 시간을 미리 마련해두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에 버퍼 시간을 두다"는 의미는 예기치 않은 문제나 지연을 대비해 여유 시간을 두는 것을 말합니다.
3. 리소스(Resource)
리소스는 자원이라는 뜻으로, 직장에서는 사람, 시간, 돈, 장비 등 모든 자원을 뜻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를 배분하다"는 것은 업무에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 인사이트(Insight)
인사이트는 '통찰'이나 '통찰력'이라는 의미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를 분석하거나 해결책을 제시할 때 사용됩니다.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다"는 특정 시장이나 트렌드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의견을 제시한다는 뜻입니다.
5. 어젠다(Agenda)
어젠다는 '회의 안건'을 의미하는 단어로, 회의에서 논의할 사항들을 미리 정리한 목록을 뜻합니다. "어젠다를 준비하다"는 회의에서 다룰 주제를 사전에 정리하고 준비하는 것을 말합니다.
6. 매핑(Mapping)
매핑은 '연결'이나 '도표화'의 의미로, 직장에서는 문제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거나 시각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업무 프로세스를 매핑하다"는 업무 과정을 도식으로 정리하여 한눈에 보기 쉽게 만든다는 뜻입니다.
7. 핵심 성과 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는 '핵심 성과 지표'로, 특정 목표나 업무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분기의 KPI를 설정하다"는 이번 분기에 달성해야 할 목표를 구체적인 지표로 설정한다는 의미입니다.
8. 디스커션(Discussion)
디스커션은 '논의'라는 뜻으로, 직장 내에서는 특정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나누는 과정을 말합니다. "디스커션을 시작하다"는 회의나 토론을 통해 주제를 논의하기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9. 스프린트(Sprint)
스프린트는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를 의미하는데, 특히 애자일(Agile) 방법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스프린트를 진행하다"는 짧은 시간 안에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중해서 작업한다는 뜻입니다.
10. 스케일링(Scaling)
스케일링은 '확장' 또는 '확대'라는 뜻으로, 직장에서 주로 비즈니스나 시스템을 확장하거나 더 큰 범위로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즈니스를 스케일링하다"는 사업을 확장하여 더 많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더 많은 매출을 올린다는 의미입니다.
11. 디플로이(Deploy)
디플로이는 '배포하다'라는 의미로, 특히 IT 분야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디플로이하다"는 소프트웨어를 서버나 클라우드 환경에 배포하여 실제 사용이 가능하게 만든다는 뜻입니다.
12.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떠올리고 논의하는 회의 기법을 말합니다.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자유롭게 떠올리기 위해 모두가 참여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13. 포지셔닝(Positioning)
포지셔닝은 시장에서 특정 브랜드나 제품이 어떤 위치를 차지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을 말합니다. "브랜드 포지셔닝을 설정하다"는 브랜드가 목표 시장 내에서 어떤 이미지를 구축할지 전략을 세운다는 뜻입니다.
14. 리브랜딩(Rebranding)
리브랜딩은 기존 브랜드의 이미지를 새롭게 변경하는 작업입니다. 이는 로고, 디자인, 제품 라인업, 마케팅 전략 등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리브랜딩을 진행하다"는 기존 브랜드를 새롭게 변화시킨다는 의미입니다.
15. 쿼터(Quota)
쿼터는 특정 기간 내에 달성해야 하는 목표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판매 쿼터를 맞추다"는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판매 목표를 달성하려는 것을 의미합니다.
16. 오너십(Ownership)
'오너십'은 어떤 일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임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에 오너십을 가지고 일하다"는 프로젝트의 결과에 책임감을 느끼고, 주도적으로 업무를 이끌어간다는 뜻입니다.
17. 인프라(Infra)
'인프라'는 기본적인 시스템이나 구조를 의미합니다. 직장에서 주로 IT 인프라나 조직 인프라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며, "업무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시스템이나 환경이 잘 갖춰져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
18. 레퍼런스(Reference)
레퍼런스는 '참조'나 '추천서'라는 뜻으로, 주로 어떤 사람이나 자료를 참조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를 확인하다"는 자료나 문서, 또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참고한다는 의미입니다.
19. 펀딩(Funding)
펀딩은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입니다. "펀딩을 받다"는 프로젝트나 사업을 위한 자금을 모은다는 뜻으로, 스타트업에서는 자금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20. 브릿지(Bridge)
브릿지는 직장에서 사람들, 부서 간의 연결고리를 의미합니다. "부서 간 브릿지 역할을 하다"는 두 부서 사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뜻입니다.
21. 타임라인(Timeline)
타임라인은 프로젝트나 일정에 따른 세부 계획이나 일정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타임라인을 설정하다"는 프로젝트 진행 과정과 일정에 맞춰 계획을 세운다는 의미입니다.
22. 업셀링(Upselling)
업셀링은 기존 고객에게 더 비싼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하는 마케팅 전략입니다. "고객에게 업셀링을 시도하다"는 고객에게 더 고급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려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23. 피벗(Pivot)
피벗은 '방향을 전환하다'는 뜻으로, 주로 사업 전략이나 프로젝트의 방향을 급격히 바꿀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업 모델을 피벗하다"는 기존의 사업 방향을 완전히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24. 시너지(Synergy)
시너지는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결합하여 더 큰 효과를 내는 것을 말합니다. "시너지를 창출하다"는 여러 사람이나 팀이 협력하여 더 큰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의미입니다.
25. 프레임워크(Framework)
프레임워크는 어떤 일을 진행할 때의 구조나 틀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문제 해결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이나 절차를 적용한다는 뜻입니다.
26.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업이나 조직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업무 방식이나 서비스를 혁신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다"는 회사의 기존 방식을 디지털화하여 더 효율적이고 혁신적으로 바꾼다는 뜻입니다.
27. 리스크(Risk)
리스크는 '위험'을 의미합니다. 직장에서는 위험 요소나 불확실한 상황을 다룰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리스크를 관리하다"는 업무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8. 스케줄링(Scheduling)
스케줄링은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회의를 스케줄링하다"는 회의 시간을 정하고 일정을 조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29. 트렌드(Trend)
트렌드는 특정 시기나 시대의 흐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업계 트렌드를 따라가다"는 현재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파악하고 그에 맞춰 전략을 세운다는 의미입니다.
30. 밸류(Value)
밸류는 '가치'라는 뜻으로, 직장 내에서 주로 제품,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 제품의 밸류를 높이다"는 그 제품의 가치를 더 높이거나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1. 솔루션(Solution)
솔루션은 문제 해결책이나 해결 방법을 의미합니다. "문제를 해결할 솔루션을 찾다"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을 뜻합니다.
32.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은 소프트웨어나 앱을 의미하는 단어로, 직장에서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도입하다"는 업무를 돕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33.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컴플라이언스는 법률이나 규정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컴플라이언스를 체크하다"는 회사의 모든 활동이 법적 요구사항을 따르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4. 매니지먼트(Management)
매니지먼트는 '관리' 또는 '경영'을 의미합니다. 직장에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팀을 이끌며 업무를 조정하는 역할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를 맡다"는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일을 맡는 것을 의미합니다.
35. 라이선스(License)
라이선스는 제품이나 서비스 사용에 대한 법적 권리를 의미합니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구매하다"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구입한다는 뜻입니다.
36. 레퍼런스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