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꿀팁

사회초년생을 위한 직장 내 필수 용어 모음3

by 새햐안맑음 2025. 2. 28.
반응형

직장에서 잘 모를 수 있는 단어2 이어서 더 추가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직장

 

1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업이나 조직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업무 방식이나 서비스를 혁신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다"는 회사의 기존 방식을 디지털화하여 더 효율적이고 혁신적으로 바꾼다는 뜻입니다.

12. 리스크(Risk)

리스크는 '위험'을 의미합니다. 직장에서는 위험 요소나 불확실한 상황을 다룰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리스크를 관리하다"는 업무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13. 스케줄링(Scheduling)

스케줄링은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회의를 스케줄링하다"는 회의 시간을 정하고 일정을 조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14. 트렌드(Trend)

트렌드는 특정 시기나 시대의 흐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업계 트렌드를 따라가다"는 현재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파악하고 그에 맞춰 전략을 세운다는 의미입니다.

15. 밸류(Value)

밸류는 '가치'라는 뜻으로, 직장 내에서 주로 제품,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 제품의 밸류를 높이다"는 그 제품의 가치를 더 높이거나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6. 솔루션(Solution)

솔루션은 문제 해결책이나 해결 방법을 의미합니다. "문제를 해결할 솔루션을 찾다"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을 뜻합니다.

17.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은 소프트웨어나 앱을 의미하는 단어로, 직장에서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도입하다"는 업무를 돕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18.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컴플라이언스는 법률이나 규정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컴플라이언스를 체크하다"는 회사의 모든 활동이 법적 요구사항을 따르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9. 매니지먼트(Management)

매니지먼트는 '관리' 또는 '경영'을 의미합니다. 직장에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팀을 이끌며 업무를 조정하는 역할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를 맡다"는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일을 맡는 것을 의미합니다.

20. 라이선스(License)

라이선스는 제품이나 서비스 사용에 대한 법적 권리를 의미합니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구매하다"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구입한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사회초년생을 위한 직장 내 필수 용어 모음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이 단어들 출근하기전까지 다 외워가셔서 상사가 업무를 내려줄때 바로 알아들어서 당황스럽지 않은 출근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